재무제표란 무엇인가?
회계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 '재무제표'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을 하였다. 다시 한번 이야기하면, 재무제표란 '기업(회사)의 성적표'이며, 회계를 하는 것은 재무제표를 만들기 위함이라고 했다.
우리가 회계를 어렵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재무제표 역시 쉽지 않다는 의미일 것이다. 즉,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것들이 어렵게 다가오는 것이다. 재무제표는 어떻게 구성되어있을까?
우선, 재무제표는 결산보고서, 기업 성적표, Financial Statement와 같은 말로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로 회계가 어려운 것은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잘 들어보지 못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인데, 결산보고서와 재무제표가 같은 말이라고만 알아도 훨씬 이해가 빠르다. 즉, 회계를 공부할 때는 용어정리가 중요하다.
재무제표는 아래와 같이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자산, 부채, 자본 등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 과거에는 '대차대조표'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재무상태표'로 불린다.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수익, 비용 등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보고서
자본 변동표(Statement of Changes in Financial Position)
자본의 크기나 변동 내역을 나타내는 보고서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
현금 흐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보고서
주석(Footnote)
계정 과목이나 금액에 대한 보충설명
기업의 규모에 따라서 위에 있는 5가지 내용을 모두 담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어떤 회사라도 꼭 재무제표에 포함하고 있다.
중요하다는 2가지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무 상태표 : 일정시점에 있어서 기업의 재무 상태 즉,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보고서로 보고식과 계정식으로 구분한다.
손익계산서 : 일정기간 동안에 기업의 영업실적인 수입과 비용을 나타내는 보고서로 보고식과 계정식으로 구분된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서 꼭 기억해야 하는 것은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왜 재무제표에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가 빠지면 안되는지를 알 수 있다.